티스토리 뷰
부동산은 워낙 큰 금액이라 대출로 충당해야 하는데 큰 금액을 낮은 이자로 빌릴 수 있다면 그것보다 좋은 게 없죠.
부동산에서는 중요한 정책대출을 알려드릴게요. 정책대출, 정부와 공공기관이 주거 안정을 위해 운영하는 저금리 금융상품이에요. 주택 구입이 처음이거나 신혼부부 자녀가 2명 이상인 가구, 청년이라면 특히 더 좋은 조건으로 대출받을 수 있죠.
▶ 내집마련 디딤돌대출
• 대상 : 부부 합산 연 소득 6,000만원 이하(생애 최초 주택 구입자 및 2자녀 이상 가구는 7000만원 이하, 신혼 부부는 8,500만원 이하) 및 부부 합산 순자산 가액 4억6,900만원 이하인 무주택 세대주
• 대출한도
• 일반 가구 : 최대2억5,000만원
• 생애최초주택구입자: 최대3억원
• 신혼 및 2자녀 이상 가구 : 최대 4억원
• 금리 : 연 2.65 % ~ 3.95%
• 부부 합산 연 소득과 대출 기간에 따라 차등적용
• 우대 금리 적용 시 최저 1%대 금리까지 적용 가능
• 특징 및 요건
• LTV(주택담보대출비율)70%이내, DTI(총부채상환비율)는 60%이내로 제한
• 단, 생에 최초 주택 구입자의 경우 LTV(주택담보대출비율) 최대 80 % 까지 적용
• 차주는 디딤돌 대출을 받은 날로부터 1개월 이내에 대출받은 주택에 전입한 후 1년 이상 실거주 유지해야함
▶ 신생아 특례 디딤돌대출
• 대상 : 대출 접수일 기준 2년 내 출산한 부부 합산 연 소득 1억 3,000만 원 이하의 무주택 또는 1 주택 세대주
• 대출한도 : 최대 5억 원
• 금리 : 연 1.6~4.3%
• 특징 및 요건
• 시세 9억원 이하의 주택에 적용
• 추가출산 시 우대 금리 적용기간 연장 가능
▶ 보금자리론
• 대상 :부부합산연 소득 7,000만원 이하의 무주택 또는 1 주택 세대주
• 대출 한도
• 최대 3억 6,000만 원
• 다자녀 가구, 전세사기 피해자 : 최대 4억 원
• 생애 최초 주택 구입자 : 최대 4억 2,000만 원
• 금리 : 아낌 e-보금자리론 기준 연 3.65~3.95%(고정 금리 적용)
• 신청 방법에 따라 U, 아낌 e, t보금자리론으로 구분되며 금리가 다르게 적용
• 특징 및 요건
• 시세 6억 원 이하의 주택에 대해 적용
• 저소득청년, 신혼가구, 사회배려층 등 조건에 따른 우대금리 적용 가능
• LTV(주택담보대출비율) 최대 80% 이내로 제한
• 1 주택 세대주의 경우 기존 주택 처분조건부로 취급할 수 있으며, 기존주택은 대출 실행일로부터 3년 이내에 처분해야 함
▶ 청년주택드림대출
• 대상 :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에 1년 이상, 1,000만 원 이상 납입한 만 19세~34세 연 소득 5,000만 원 이하의 무주택 청년
• 대출 한도 : 최대 분양가의 80%
• 금리 : 연 2.2~4.5%
• 특징 및 요건
• 연 납입금 300만 원까지 40% 소득공제
• 최장 40년 대출지원
• 우대금리 추가 지원
▶ 수익공유형 모기지
• 대상 : 부부 합산 총소득 6,000만 원 이하(생애 최초 주택구입자는 7000만 원 이하), 순자산가액 4억 8,800만 원 이하인 생애 최초 주택구입자 또는 5년 이상 무주택자 세대주
• 대출 한도 : 최대 2억 원(주택 가격의 최대 70%)
• 금리 : 연 1.8% 고정 금리
• 특징 및 요건
• 주택 구매자가 주택 가격 상승에 따른 일부 수익을 금융기관과 공유하는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