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ETF]미국 국채 ETF

소피아의 Moneymind 2025. 4. 13. 01:25
반응형

미국 국채 ETF는 금리 변동에 따른 투자 전략을 수립하는 데 유용한 도구로 대표적인 미국 국채 ETF인 TMF, TLT, SGOV, TBT에 대해 추종 자산, 운용 보수, 주요 보유 종목 등 핵심 정보를 알아보겠습니다.

 

미국 국채 ETF
미국 국채 ETF

1. TMF –Direxion Daily 20+ Year Treasury Bull 3X Shares

• 운용사: Direxion​
• 추종 지수: ICE U.S. Treasury 20+ Year Bond Index​
• 레버리지: 3배 (일일 수익률 기준)​
• 운용 보수: 1.06%​
• 주요 특징:
   • 만기 20년 이상의 미국 국채에 투자하며, 일일 수익률의 3배를 추구하는 레버리지 ETF입니다.​
  • 금리 하락 시 채권 가격 상승으로 인해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으나, 금리 상승 시 손실 위험도 큽니다.​
  • 분기 배당을 실시하며, 최근 연평균 배당률은 1.14%입니다. ​

2.  TLT – iShares 20+ Year Treasury Bond ETF

• 운용사: BlackRock (iShares)​
• 추종 지수: ICE U.S. Treasury 20+ Year Bond Index​
• 운용 보수: 0.15%​
• 주요 특징:
  • 만기 20년 이상의 미국 장기 국채에 투자하는 대표적인 패시브 ETF입니다.​
  • 월 배당을 실시하며, 최근 배당 수익률은 약 3.92%입니다. ​
  • 듀레이션이 길어 금리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

3. SGOV – iShares 0-3 Month Treasury Bond ETF

• 운용사: BlackRock (iShares)​
• 추종 자산: 만기 0~3개월의 미국 단기 국채​
• 운용 보수: 0.05%​
• 주요 특징:
  • 단기 국채에 투자하여 금리 변동에 대한 민감도가 낮고,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합니다.​
  • 최근 배당 수익률은 약 5.23%로, 단기 자금 운용에 적합합니다.

4. TBT – ProShares UltraShort 20+ Year Treasury

• 운용사: ProShares​
• 추종 지수: ICE U.S. Treasury 20+ Year Bond Index​
• 레버리지: -2배 (일일 수익률 기준)​
• 운용 보수: 0.95%​
• 주요 특징:
  • 만기 20년 이상의 미국 국채 수익률의 반대 방향으로 2배의 수익률을 추구하는 인버스 레버리지 ETF입니다.​

  • 금리 상승 시 채권 가격 하락으로 인해 수익을 기대할 수 있으나, 금리 하락 시 손실 위험도 큽니다.​

5. 채권 ETF의 장점

• 손쉬운 접근성과 거래 편의성
   채권 ETF는 주식처럼 증권사 HTS/MTS를 통해 실시간으로 매매할 수 있어, 개별 채권보다 접근이 용이합니다. 특히 초  단기 채권 ETF는 예금 대체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
• 분산 투자로 인한 리스크 완화
   하나의 ETF에 다양한 채권이 포함되어 있어, 개별 채권의 부도나 신용등급 하락 등의 리스크를 분산시킬 수 있습니다. ​
• 소액 투자 가능
   채권 ETF는 소액으로도 다양한 채권에 투자할 수 있어, 자금이 제한적인 투자자에게도 적합합니다. ​
• 투명한 정보 제공
   ETF는 보유 채권 목록과 비중을 정기적으로 공개하므로, 투자자는 자신의 자금이 어떻게 운용되고 있는지 명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

6. 채권 ETF의 단점 및 유의사항

• 만기 구조의 차이
   일반적인 채권 ETF는 만기가 없으며, 포트폴리오 내 채권이 지속적으로 교체됩니다. 이에 따라 만기 시 원금과 이자를 돌려받는 개별 채권과 달리, 투자자가 적절한 매도 시점을 판단해야 합니다. ​
• 세금 및 수수료 부담
   채권 ETF는 이자와 매매차익에 대해 세금이 부과되며, 운용 보수 등의 수수료도 발생합니다. 반면, 개별 채권은 매매차익에 대한 세금이 없고, 중개 수수료도 저렴한 편입니다. ​
• 금리 변동에 따른 가격 변동성
   채권 ETF의 가격은 금리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특히 장기 채권 ETF는 금리 상승 시 가격 하락폭이 클 수 있으므로, 금리 전망을 고려한 투자 전략이 필요합니다.​
• 유동성 및 괴리율 문제
   거래량이 적은 ETF는 매수·매도 호가 간격이 넓어져 거래 비용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ETF의 시장 가격이 순자산가치(NAV)와 괴리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7. 투자 전략 요약

• 금리 하락 예상 시: TLT 또는 TMF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TMF는 레버리지를 활용하여 더 높은 수익을 추구하지만, 변동성이 크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금리 상승 예상 시: TBT를 통해 인버스 전략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단기 자금 운용 및 안전성 중시 시: SGOV를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