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프리랜서 세금은 3.3%
우리가 벌어들이는 소득에는 근로소득, 사업소득, 금융 소득, 연금소득, 기타소득, 퇴직소득이 있어요. 프리랜서는 직장인
처럼 회사에 소속되어 있지 않아요. 그래서 세법에서는 프리랜서를 사업소득자로 규정해, 지급받은 소득에서 사업 소득세
인 3.3%를 원천징수해 납부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 원전징수란?
소득을 지급하는 자(원천징수의무자)가 소득을 받는 자(소득자)가 납부해야 할 세금을 미리 징수하여 국가에 대신 납부하는 제도입니다. 이러한 방식은 세금 징수의 효율성을 높이고, 소득자가 세금을 직접 납부하는 번거로움을 줄여줍니다.
3.3%를 원전징수했다는 의미는, 소득을 지급하는 사람이 여러분이 내야 할 사업 소득세인 3.3%를 대신 납부했다는 뜻이에요.
△ 프리랜서의 연말정산, 종합소득세 신고
직장인은 미리 떼인 근로소득세가 진짜 내가 내야 할 세금이 맞는지 연말정산을 통해 최종 정산하는 절차를 거쳐요.
내 소득과 소비, 그리고 여러 요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최종 세금을 결산하고, 더 낸 세금이 있다면 돌려받고, 덜 낸 세금이 있다면 다시 납부하게 됩니다.
프리랜서도 마찬가지예요. 소득에서 미리 떼인 3.3%의 세금이 적절한 금액이 맞는지 최종 정산하는 절차를 거칩니다. 이 절차를 종합소득세 신고라고 하며, 매년 5월에 진행하게 되죠.
1. 소득공제
세금은 1년간 벌어들인 총소득을 기준으로 부과돼요. 많이 번 사람은 많은 세금을 내고, 적게 번 사람은 상대적으로 적은 세금을 내게 되죠. 따라서 소득공제를 꼼꼼하게 적용해 소득을 덜어내면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어요. 대표적인 소득공제 항목 중, 나에게 해당되는 내용이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 소득공제란?
소득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비용이 들어감을 인정하여 세금 부과 대상이 되는 소득을 줄여주는 것.
★소득공제 항목
① 기본공제
프리랜서 역시 근로소득자와 마찬가지로 본인에 대한 연 150만 원 공제를 받을 수 있어요. 여기에 소득 요건과 나이 요건을 충족하는 배우자 및 부양가족이 있는 경우, 1인당 연 150만 원을 소득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
② 추가공제
기본공제 대상자 중 경로우대 공제, 장애인 공제, 한부모 공제, 부녀자 공제 요건을 충족하는 사람이 있다면 추가 공제를 받을 수 있어요.
③ 국민연금보험료공제
프리랜서도 지역가입자로서 기준소득월액의 9%의 연금보험료를 내요. 이렇게 매달 납부한 국민연금 보험료는 납부액 전액을 소득공제 받을 수 있어요.
④ 소기업소상공인공제부금 공제
프리랜서도 노란우산공제에 가입할 수 있는데요. 월 5만 원부터 100만 원까지 1만 원 단위로 저축액을 설정해 자유롭게 저축할 수 있으며, 연간 최대 500만 원 소득공제 혜택을 볼 수 있어요.
2.세액공제
세액공제를 통해 한 번 더 세금을 줄일 수 있어요. 소득공제가 세율이 결정되는 소득 구간을 낮춰준다면, 세액공제는 세금 자체를 깎아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절세에 있어 매우 효과적입니다.
★세액공제 항목
① 자녀세액공제
기본공제 대상자에 해당하는 8세 이상 손·자녀가 있다면, 자녀 수에 따라 세액공제가 가능해요.
② 연금계좌 세액공제
연금계좌 및 퇴직연금에 납입한 금액의 12% 혹은 15%를 일정 한도 내에서 세액공제받을 수 있어요.
③ 기장세액공제
간편장부 대상자가 복식부기로 기장하는 경우, 20%의 세액공제 혜택을 적용받아요.
프리랜서 기장 TIP
① 경비를 인정받기 위해서는 세법에서 인정하는 증빙을 생겨야 해요. (세금계산서, 계산서, 신용카드 영수증, 현금영수증 등)
② 출퇴근, 출장 등에 차량을 이용할 경우, 차량을 사업용으로 등록해 비용 처리할 수 있어요. 차량 취득 시에는 자동차 등
록증, 리스 및 렌탈 시에는 월 납부 내역서 증빙 서류를 생겨 주세요. (보험료, 유류비, 수리비 등도 비용 처리 가능)
③ 결혼식, 장례식 등 경조사비 지출도 접대비로 인정 가능해요. 증빙용으로 모바일 청첩장, 부고 문자 등을 별도로 저장
해두고 사용하세요.
△ 종합소득세 환급, 납부 기준
이렇게 본인이 받을 수 있는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를 모두 적용한 후의 금액이 바로 결정세액이에요. 이걸 미리 떼인 3.3%
의 세금, 즉 기납부세액과 비교해 차액만큼 환급받거나, 추가 납부를 하게 됩니다.
① 종합소득세 환급 : 결정세액이 기납부세액보다 적으면, 더 낸 금액만큼 환급받습니다.
② 종합소득세 납부 : 결정세액이 기납부세액보다 크면, 덜 낸 금액만큼 추가로 납부합니다.
△ 사업자 등록했다면 부가가치세 신고는 필수
프리랜서 중 사업자등록을 하는 분들도 많아요. 사업자등록을 했을 때 이점은 사업자에게 지원되는 세제상 혜택을 지원받을 수 있으며, 매입세액을 공제받을 수 있어요. 다만, 사업자등록을 했을 경우 부가가치세 신고 및 납부 의무가 생기므로 부가가치세 신고도 잘 생겨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