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엔화와 일본 시장에 투자할 수 있는 다양한 ETF(상장지수펀드)가 제공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ETF는 각각 추종하는 자산, 구성 종목, 운용 보수, 그리고 기타 정보를 통해 투자자들에게 다양한 ETF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1. Invesco CurrencyShares Japanese Yen Trust (FXY)FXY는 엔화의 가치 변동을 직접적으로 추적하는 ETF로, 미국 투자자들이 엔화에 직접 투자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합니다. 이 펀드는 엔화의 일일 가격 움직임을 반영하며, 엔화 강세 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추종 자산: 일본 엔화 • 구성 종목: 이 ETF는 엔화의 가치 변동을 직접 추적하며, 별도의 구성 종목 없이 엔화 자체에 투자합니다. • 운용 보수: 연 0.40% • 기타..
엔화에 노출된 미국 장기채 ETF는 미국의 장기 국채에 투자하면서 엔화의 환율 변동에 따른 수익을 동시에 추구하는 상장지수펀드입니다. 이러한 ETF는 미국 국채의 이자 수익과 엔화 가치 상승에 따른 환차익을 동시에 노릴 수 있는 투자 상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1. RISE 미국30년국채엔화노출(합성 H)투자 전략: 잔존 만기 20년 이상의 미국 장기 국채에 투자하며, 엔화로 산출되는 지수를 추종합니다. 이를 통해 미국 달러화의 가치 변동과 무관하게 엔화로 미국 장기 국채에 투자하는 효과를 제공합니다. 수수료 구조: 총보수는 연 0.25%로, 운용보수 0.15%, AP/LP 보수 0.05%, 신탁보수 0.03%, 일반사무보수 0.02%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 ACE 미국30년국채엔화노출액티브..
최근 중국 기술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홍콩 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술 기업들의 주가를 추종하는 항셍테크지수는 주목받고 있습니다. 항셍테크지수는 홍콩 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술 기업 30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종목으로는 샤오미, 알리바바, 텐센트, 중신국제반도체(SMIC), 메이퇀 등이 있습니다. 이들 기업은 전자상거래, 소셜 미디어, 반도체, 음식 배달 등 다양한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국내 투자자들은 이러한 중국 기술주에 투자하기 위해 상장지수펀드(ETF)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차이나항셍테크 ETF'는 홍콩 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술 기업들로 구성된 '항셍테크 지수(Hang Seng TECH Index)'를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입니다. 투자에 앞서, 중국 주식 시..
최근 정부는 전세대출 보증비율을 현행 100%에서 90%로 낮추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는 가계부채 관리와 부동산 시장 안정을 위한 조치로, 빠르면 올해 1분기 내에 시행될 예정입니다. ▶ 전세대출 보증비율이란?전세대출 보증비율은 세입자가 전세대출을 받을 때, 보증기관이 대출금에 대해 보증해 주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현재 주택도시보증공사(HUG)와 서울보증보험(SGI)은 전세대출금의 100%를 보증하고 있으며, 한국주택금융공사(HF)는 90%를 보증하고 있습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는 지금까지 임대보증금의 80% 이내에서 수도권 4억 원, 지방은 3억 2000만 원까지 대출금의 100%를 보증해 줬어요. 그럼 은행은 세입자가 대출금을 갚지 못해도 보증기관이 대신 갚아주겠다는 보증서를 믿고 담보 없이 ..
중화권 시장에 투자하고자 하는 투자자들에게는 다양한 ETF(상장지수펀드)이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MCHI, GXC, CQQQ, FXI는 대표적인 ETF로 꼽힙니다. 각 ETF의 추종 자산, 구성 종목, 운용 보수 등을 비교하여 투자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1. MCHI (iShares MSCI China ETF)(1) 추종 자산: MSCI China Index를 추종하며, 중국 대형주 및 중형주로 주요 산업은 기술, 금융, 소비재 등이 투자합니다. (2) 구성 종목: 주요 보유 종목으로는 알리바바, 텐센트, 메이퇀 디안핑, 중국건설은행, 핑안보험 등이 있습니다. (3) 운용 보수: 연 0.59% (4) 기타 정보: 운용 규모는 약 58억 달러이며, 2011년 3월 29일에 상장되었..